다른 웹 서비스와 같이 프리티어 제도를 운영중인 오라클 클라우드.
아마존 AWS 라이트세일과 고민하다가 평생 무료에 서버 성능도 가장 좋아서
직접 서버를 구축해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를 만들어 운영해 보고자 한다.
1) 오라클 클라우드 프리티어 가입 및 VCN 설정
2) 고정 IP 설정
3) SSH 키 만들기 및 인스턴스 생성
4) 인스턴스에 고정 IP 연결
5) LEMP 설치 – 터미널 접속 및 리눅스 업데이트
6) LEMP 설치 – Nginx 설치 및 iptables 고정
7) LEMP 설치 – PHP
8) LEMP 설치 – MariaDB
9) phpMyAdmin 설치
10) FileZilla 파일질라 FTP 연결
11) URL 도메인 주소 연결
12) SSL 인증서 발급
13) 워드프레스 DB 생성
14) 워드프레스 설치
오라클 클라우드 프리티어로 워드프레스 운영하기
10) FileZilla 파일질라 FTP 연결

서버의 원활한 관리를 위해서는 FTP 이용이 필수적이다.
우선 FTP 프로그램인 파일질라 클라이언트(LINK)를 설치한 다음
좌측 상단 “사이트 관리자” 아이콘을 클릭한다.

“새 사이트”를 클릭해 사이트를 추가한 다음
우측 설정창을 통해 세팅을 진행한다.
프로토콜은 “SFTP”로 설정하며 호스트는 인스턴스의 “고정 IP 주소”를 입력한다.
포트는 빈 칸으로 놔두고 로그인 유형은 “키 파일”, 사용자는 “ubuntu”로 설정,
키 파일은 생성한 SSH 키 중 “id_rsa” 파일을 선택하면 된다.
세팅이 끝나면 연결 버튼을 클릭해 서버에 연결한다.

확인을 눌러 진행하면 된다.

리모트 사이트에 폴더가 보이면 서버와 FTP 연결이 성공적으로 된 거다.
좌측 로컬 사이트는 현재 접속한 컴퓨터, 우측 리모트 사이트는 연결된 서버로
앞으로 FTP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서버를 관리할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